의미있는 삶을 만드는 4개의 기둥

우리는 행복만을 위해 살기 보다 의미를 위해 살아야 합니다.
행복만 중시하면 자칫 일시적인 쾌락만 탐닉하게 되거나
타인에게 무신경한 이기적인 사람이 되기 쉽습니다.

반면에 의미를 위해 살면 더 궁극적이고 높은 차원의
행복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의미를 좇으면 결국
행복도 자연스럽게 따라오기 때문이죠.

‘이케아 효과’라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가 정성을 쏟아서 무언가를 이룰 때,
그것을 더 소중히 여기는 경향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가구보다 자신이 직접 조립한 이케아 가구에
더 애정을 갖게되는 현상에서 따온 말이죠.

우리 삶도 마찬가집니다.
삶 전반에서 이케아 효과를 볼 수 있죠.
어렵지만 가치 있는일에 헌신할 때
삶이 더 의미 있게 느껴집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좇아야 할 의미는
어떤 것이어야 할까요?

650만 명이 시청한 TED 영상으로 화제를 모은
작가 에밀리 스미스는 자신의 책
‘어떻게 나답게 살 것인가’를 통해
이 답을 찾아 나섭니다.

저자는 사회 각계 각층 사람들의 서신,
과거 철학자들과 현대의 심리학자들이 제시하는
의미있는 삶에 대한 정의.
철학, 문학, 종교, 심지어는 대중문화 속에서 발견되는
삶의 의미를 샅샅이 조사하고 마침내 그 답을 찾습니다.

우리가 따라야 할 삶의 의미,
의미 있는 삶을 만드는 4개의 기둥은
유대감, 목적, 스토리텔링, 초월 입니다.

1. 유대감

저자는 유대감을 우리 삶의 첫 번째 의미로 꼽습니다.
유대감, 즉 다른 사람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느끼는 안정감,
가족이든 친구든 혹은 사교 모임이든 어떤 공동 운명체에
소속되어 있다는 사실이 우리 삶에 큰 의미를 줍니다.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가
우리 삶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인 것이죠.

저자는 1940년대 고아원과 교도소내 유아원의
아동 사망률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고아원은 철저히 위생관리를 하면서 아이들이
사람과 접촉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했습니다.
반면에 교도소내 유아원은 아이들이 엄마나
다른 아이들과 자유롭게 접촉하며 놀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연구가 종료된 시점에서 고아원에서 사람과 접촉이
차단된 아이들은 88명 중 23명이 사망했습니다.
교도소내 유아원에서는 단 한 명도 죽지 않았죠.
아동 사망률은 세균이 문제가 아니라
애정결핍이 문제였던 겁니다.

성인도 마찬가집니다.
외롭고 고립된 사람들은
자신의 삶이 덜 의미 있다고 느낍니다.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대체로 자살률이 높고,
자녀 없는 부부가 자녀 있는 부부보다
자살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관계의 중요성을 반증하는 것이죠.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 유대감.
바로 우리 삶의 첫 번째 의미입니다.

2. 목적

두 번째는 목적입니다.
목적을 지닌 사람들은 자기 삶에서
더 큰 의미와 만족을 느낍니다.이 삶을 통해서 뭔가 해야할 일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 의욕적이고 어려움을
더 잘 헤쳐나갑니다.

반면에 목적을 찾지 못하는 사람들은
허송세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학생들도 마찬가지죠.
공부를 해야 하는 목적이 없는 아이들은
성적이 대체로 낮습니다.

그런데 이 목적은 어떤 목적이어야 할까요?
우선 스스로의 능력과 성향에 어울리는가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이 목적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는 것인가를 고려하는 겁니다.
타인을 돕고 봉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죠.

어떤 일을 하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자신이 하는 일을 다른 사람을 돕는 기회로 볼 때
우리의 삶과 일은 더 의미가 깊어집니다.

3.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은 자신의 삶을 하나의 이야기로
이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자기 인생을 하나의 이야기로 만드는 과정에서
자신이 겪었던 경험과 나 자신이 새로운 방식으로 연결되고,
그 경험을 새롭게 이해하며, 과거에는 깨닫지 못했던
교훈을 얻게 됩니다.

과거에 큰 사고나 불행을 겪은 사람들이 종종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그 사건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달았다.
그 사건이 현재의 나 자신을 만들었다’
이렇게 스토리텔링을 통해 과거에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겁니다.

그리고 때로는 각각의 개별적인 사건들을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로 엮어서 통일성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무질서에 질서를 부여하려는 인간의 타고난 욕구 때문이죠.

자신의 삶을 하나의 훌륭한 성장기,
어려움과 불행을 극복하고 이겨낸 성공기로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삶을 더 의미있게 생각하게 됩니다.

4. 초월

압도적인 자연 경관을 마주할 때, 훌륭한 예술 작품을 대할 때,
종교적인 의식, 혹은 명상을 통해,
신비한 체험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냥 멍하니 있는 상태에서, 아니면 꿈속에서도
종종 이런 경험을 하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이 이런 초월적인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을 삶에서 가장 의미 있고 중요한 사건으로 생각합니다.

종종 이런 경험은 자아가 사라지고
만물과 일체가 되는 느낌,
세상의 모든 지혜를 깨닫는 순간, 같은
극적인 몰입 상태로 묘사됩니다.

이런 경험에서 가장 공통적인 점은
자아를 벗어나 외부의 더 큰 무언가와 연결되는
느낌을 받는 다는 겁니다.
말그대로 자아를 초월하는 느낌이죠.

아직 현대 과학으로 이런 일이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밝힐 수 없습니다.
다만 인간에게는 이런 초월에 대한 본능적인 열망이 있고
이 경험이 우리 삶에 큰 의미를 준다는 점만은 분명하죠.

절대적인 한계를 가진 나약한 인간에게
이 초월에 대한 희망은 아주 큰 가치가 있습니다.
더 나은 사람으로 변화하고 혹은 더 진보한 인류로 발전해 가는데
큰 원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의미 있는 삶을 만드는 4개의 기둥,
유대감, 목적, 스토리텔링, 초월은
모두 중요한 가치입니다.
아무리 큰 의미를 주는 가치라도 한 기둥에만
너무 의지하면 안됩니다.
하나의 기둥에만 의지하다가 그 기둥이 무너지면
전체가 무너져 버리고 마니까요.
그래서 한쪽에 치우침 없이
4개의 기둥을 골고루 키워야 합니다.

이렇게 의미를 만드는 4개의 기둥에 의지해서
일시적인 행복이 아닌 더 궁극적이고 높은 차원의
진짜 행복을 누리기 바랍니다.

3 thoughts on “의미있는 삶을 만드는 4개의 기둥”

댓글 남기기